지분형 대출 구조, 어떻게 계산될까?
지분형 주택담보대출은 정부(한국주택금융공사)가 집값의 최대 40%까지 '지분'을 투자하고, 은행이 최대 40%까지 대출을 해주는 방식입니다. 나머지 최소 20%는 본인이 준비해야 하는 자기자본이죠.
예를 들어 5억 원짜리 집을 산다고 가정할 때, 구조는 다음과 같을 수 있습니다:
항목 | 금액 | 비율 |
---|---|---|
본인 자금 | 1억 원 | 20% |
은행 대출 | 2억 원 | 40% |
정부 지분 투자 | 2억 원 | 40% |
총 구입 가격 | 5억 원 | 100% |
다양한 시나리오 예시
아래는 실제 신청자들의 상황을 반영한 가상의 시뮬레이션입니다.
✔ 월소득 450만원, 청년 단독세대
- 구입 희망 주택: 3억 원
- 본인 자금: 6천만 원
- 예상 지분 구조: 본인 20%, 은행 40%, 주금공 40%
→ 가능! 안정적 소득이 있고, 무주택이라면 충분히 자격 가능성이 있습니다.
✔ 맞벌이 신혼부부, 연소득 9천만 원
- 구입 희망 주택: 6억 원
- 본인 자금: 1억 2천만 원
- 예상 구조: 본인 20%, 은행 40%, 주금공 40%
→ 가능! 맞벌이는 더 넓은 소득 한도 적용, 지분형 주담대 우선 대상입니다.
이런 분들은 조심!
✔ 자기자본이 10% 이하인 경우, 비율 구조상 신청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
✔ 주택가격이 6억 원 초과되면 지분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✔ 대출 한도와 지분 투자 비율은 지역과 개인 신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